영풍, 탄소중립 전략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표

0
영풍
영풍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담은 두 번째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 출처-영풍 제공)
영풍
영풍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담은 두 번째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 출처-영풍 제공)

영풍 이 2050년까지 전사적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담은 두 번째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영풍의 환경, 사회, 지배구조 전반에서의 지속가능경영 방향과 실행 과제를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

영풍은 2일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ESG 보고서)‘를 공개하고,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세부 목표와 실행 전략을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영풍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에 부응해 2030년까지 기준년도 대비 11.4% 감축, 2040년 60% 감축, 2050년에는 완전한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전력 사용 부문에서는 전력구매계약(PPA) 체결,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구매 등을 추진하고 있다.

감축이 어려운 배출량에 대해서는 오프셋 크레딧(Offset credit) 구매를 통해 잔여 배출을 상쇄하며, 전력 분야를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 실행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는 공급망 전반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추적·관리하기 위한 ‘스코프 3(Scope 3) 인벤토리 체계’도 도입됐다.

이 시스템은 원자재 조달부터 제품 사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주기(Life Cycle) 전반의 온실가스를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영풍은 아연 제련 공정 등에서의 직접·간접 배출뿐만 아니라, 공급망 내 탄소관리 체계를 전사적으로 적용하며 전방위적 기후 대응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환경 부문에서는 2021년 석포제련소에 제련업계 최초로 무방류 시스템(Zero Liquid Discharge)을 도입해 수자원 재활용 기반을 마련했으며, 2022년에는 지하수 차집시설까지 구축해 오염수 유출을 차단했다.

또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통해 전력 피크 시간대 전력 소비 효율도 관리하고 있다.

아울러 경북 봉화군 오미산 일대에 조성 중인 60.2MW 규모 풍력발전단지에는 제련소 보유 송전선을 무상 제공함으로써 친환경 전력 인프라 구축에도 기여 중이다.

지배구조(G) 영역에서는 주식 10대 1 액면분할, 자사주 전량 소각(2026년 3월까지), 순이익의 30% 주주환원 등의 정책도 병행되고 있다.

이 같은 조치는 투명 경영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전략적 조치로 평가된다.

영풍 관계자는 “ESG 경영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조건이라는 인식 아래, 환경·사회·지배구조 전 부문에서 책임 있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탄소중립 목표 역시 실현 가능한 실행력을 바탕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