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PwC “소비재 기업, AI로 가치 창출해야”

소비재 산업의 생존 전략으로 AI(인공지능) 기반 가치 창출과 사업 재편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삼일PwC 는 4일 발간한 ‘넥스트 인 컨슈머 마켓 2025’ 보고서를 통해, 소비재 기업들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서 디지털 전환과 조직 재설계를 병행해야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삼일PwC는 보고서에서 “소비재 기업은 AI 기술의 도입 여부를 넘어, 조직의 운영 방식과 프로세스를 재설계하는 단계로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소비재 시장 리더의 약 67%가 생성형 AI의 활용 수준에 따라 클라우드 투자 예산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고 전했다.
이는 고객 맞춤형 경험을 중시하는 Z세대 소비자 수요에 대응하고, 동시에 운영 효율성을 확보하려는 시장 압력의 결과라는 분석이다.
AI 기반 가치 창출은 소비재 기업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전략으로 지목됐다.
실제 한 글로벌 약국 체인은 디지털 고객 서비스를 AI로 전환한 뒤 1000억 원 이상의 비용을 절감한 사례가 소개됐다.
보고서는 “AI를 활용한 가격 책정, 재고 관리, 마케팅 자동화 등은 단순한 효율 개선을 넘어, 고객 만족도와 운영 성과를 동시에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AI 기반 인수합병 전략도 강조됐다.
삼일PwC는 “성장을 추구하는 소비재 기업들은 AI를 활용해 혁신 기술과 디지털 역량을 갖춘 기업을 인수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며 “다만 AI 기술의 실효성과 데이터의 가치, 인수 가격의 적정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이버 보안 전략 역시 핵심으로 제시됐다.
보고서는 “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단순히 AI 기반 보안시스템을 늘리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기존 보안시스템 구조를 재검토하고 AI 투자에 따른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 가치를 창출하는 ‘책임감 있는 AI(Responsible AI)’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Z세대 고객을 위한 실시간 개인화 전략 △D2C(소비자 직거래) 채널 강화 △AI 기반 추천 시스템 확대 △세금 및 규제 환경 대응 전략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정낙열 삼일PwC 소비재 산업 리더는 “AI는 소비재 산업의 운영 방식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며 “기술을 단순히 도입하는 단계를 넘어, 전략과 조직, 문화에 통합하는 것이 향후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