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폴드7·플립7 공개…삼성 AI 생태계 확장

0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연내 트리폴드폰과 XR 헤드셋 등 신제품을 공개하며 AI 중심의 스마트 기기 생태계를 확장한다. (사진 출처-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연내 트리폴드폰과 XR 헤드셋 등 신제품을 공개하며 AI 중심의 스마트 기기 생태계를 확장한다. (사진 출처-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가 연내 ‘트리폴드폰(두 번 접는 폴더블폰)’을 공개하고, AI 기술을 중심으로 스마트폰·XR(확장현실) 기기·스마트안경으로 구성된 차세대 제품 생태계를 본격 확대한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은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기자 간담회에서 삼성의 미래 스마트기기 전략을 설명했다.

노 사장은 “모바일 AI 시대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다양한 폼팩터(기기형태)가 컴패니언 형태로 어우러져 생태계를 완성할 것”이라며 “연말 출시를 목표로 트리폴드폰 완성도를 높이는 등 다양한 폼팩터의 제품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준비 중인 폼팩터 제품에는 트리폴드폰 외에도 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과 구글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 중인 스마트안경이 포함된다.

AI 기술의 하드웨어 접목은 삼성 전략의 핵심이다.

올해 삼성은 갤럭시 AI를 구형 및 보급형 기기를 포함한 4억 대 스마트폰에 탑재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대비 두 배 규모로, 기본 기능은 무료로 제공하되 일부 프리미엄 AI 기능은 유료 전환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삼성은 파트너사와 함께 AI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실제 이번에 공개된 갤럭시Z 폴드7과 플립7에는 구글의 생성형 AI ‘제미나이 라이브’가 탑재됐다.

동시에 삼성은 자체 개발 AI 모델 ‘가우스’의 고도화를 통해 하이브리드 AI 전략을 병행하고 있으며, 일부 AI 기능은 가우스 기반으로 구현됐다.

삼성의 하드웨어 전략도 변화하고 있다. 폴드7은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볍게 출시됐으며, 플립7은 휴대성과 AI 기능을 동시에 강화했다.

하지만 폴드7의 경우 전작 대비 15만원 인상된 가격으로 출시돼 가격 부담이 존재하며, 처음으로 엑시노스 2500을 전량 탑재한 점에서 성능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노 사장은 “폴더블폰 대중화를 위해 여러 비용 상승을 내부적으로 흡수한다는 목표로 어렵게 가격을 결정했다”며 “갤럭시S1 때부터 종합적인 관점에서 경쟁력있는 AP를 적용해왔다. 엑시노스는 충분히 성능과 품질을 확보했다고 확인돼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엑시노스 2500은 충분한 성능과 품질 검증을 거쳐 적용됐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한편, 오는 22일 단말기유통법(단통법) 폐지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가입자 유치 경쟁이 격화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변화가 스마트폰 판매 촉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 사장은 “단통법의 변화로 한국 모바일 시장이 활성화된다면 삼성뿐 아니라 부품사나 앱 개발사 등 모든 생태계에 긍정적”이라며 “소비자들이 보안을 민감하게 생각하는구나 한번 더 느꼈다. 이통사와 삼성의 보안 시스템을 연결해 강화된 보안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