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 AI 안전성 포함 2차 활동 보고서 발표

0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는 2차 활동 보고서를 통해 AI 안전성 체계 확립, SME 지원, 다크패턴 개선, 커머스 정산 고도화 등 다양한 권고사항을 제시했다. (사진 출처-네이버 제공)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는 2차 활동 보고서를 통해 AI 안전성 체계 확립, SME 지원, 다크패턴 개선, 커머스 정산 고도화 등 다양한 권고사항을 제시했다. (사진 출처-네이버 제공)

네이버는 7월 2일 ‘네이버 이용자 보호 및 자율규제위원회’ 가 2차 활동 보고서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가운데, 플랫폼 내 AI 안전성과 이용자 보호 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자율규제 활동의 중간 결과를 담고 있다.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 는 2023년 9월 출범 이후, 플랫폼의 책임 있는 운영을 위한 자율규제 원칙 마련과 실행에 힘써왔다.

이번 보고서에는 지난 1년간 진행된 7차례의 회의 및 활동 결과가 정리돼 있으며, 핵심 주제는 AI 안전성 체계 구축과 다크패턴 개선, SME(중소상공인) 및 창작자 지원 프로그램, 커머스 정산 주기 개선 등이 포함됐다.

특히 AI 안전성과 관련해 위원회는 “네이버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각 활동에 대해 세부적으로 더욱 체계적인 발전이 필요하다는 점을 두루 권고했다”고 전했다.

네이버는 이에 따라 내부 AI 시스템의 안전성 검토 체계를 강화하고, 외부 협력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네이버의 커머스 정산 시스템과 이용자 우선 대응 방식에 대한 평가도 이뤄졌다.

위원회는 “현재의 정산 시스템은 우수하지만, 더욱 고도화해 판매자 보호와 이용자 신뢰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더해 ‘비즈니스 스쿨’ 프로그램을 확대해 판매자 혜택 강화와 글로벌 콘텐츠 제작 역량 강화를 권고했다.

창작자 지원 측면에서는 ‘프로젝트 꽃 2.0’을 통해 다양한 창작자군에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고객센터 운영 관련해서는 AI 기술을 활용해 보다 친화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점도 지적됐다.

네이버는 다크패턴 방지를 위한 정기적 분류 체계 업데이트와 교차 검증 방안을 마련할 것을 권고받았으며, ‘그린인터넷 캠페인’과 같이 외부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안전한 인터넷 환경 조성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권헌영 위원장은 “플랫폼 스스로 이용자 권익 보호와 정보 전달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뒷받침될 때 신뢰받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 앞으로도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는 기술의 진보와 이용자의 권익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점검하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네이버가 플랫폼 책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어떤 자율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향후 AI 활용 환경에서의 안정성 기준 마련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