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원하던 고정밀 지도, 국토지리정보원과 손잡고 네이버가 제공

0
네이버 국토지리정보원 협약, 고정밀 지도 데이터
(사진 출처-네이버 제공)
네이버 국토지리정보원 협약, 고정밀 지도 데이터
(사진 출처-네이버 제공)

네이버가 국토지리정보원과 손잡고 공간정보 산업 혁신에 나섰다.

구글이 정부에 고정밀 지도 데이터의 해외 반출을 요구하는 가운데, 네이버는 자체 기술과 국가 인프라를 결합해 국내 공간정보 생태계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는 13일 국토지리정보원과 ‘국가 공간정보 활용 및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공간정보 기반 기술의 고도화와 국민 편의를 위한 실생활 밀착형 서비스 개발을 공동 목표로 한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토지리정보원은 공간정보협의체를 구성하고, 고정밀 공간정보 구축과 활용 증진을 위한 다양한 과제를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지리정보원이 보유한 항공 사진, 위성 영상, 정사 영상, 3차원 공간정보, 실내 공간 정보 등 방대한 국가 공간정보와 네이버랩스의 디지털트윈 기술, 네이버 지도의 플랫폼 역량이 결합된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정밀도와 위치 정확도, 확장성이 대폭 향상될 전망이다.

네이버는 이를 바탕으로 고품질 위치 정보 서비스를 개발하고, 3차원 지도, 실내외 통합 경로 안내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공간정보는 스마트시티, O2O, 자율주행, 디지털트윈, 가상현실 등 미래 핵심 산업의 기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네이버는 민간 기술을 공공 데이터와 결합해 국민 편익과 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최근 구글은 국토지리정보원에 1:5000 축척의 고정밀 지도 데이터 국외 반출을 요청했다. 이는 국내 지도 데이터를 자사 자율주행 사업 등에 활용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구글은 앞서 2007년, 2016년에도 같은 요청을 했지만, 보안과 안보 문제로 반려됐다. 고정밀 지도가 위성 지도와 결합될 경우 군사적 악용 우려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한국에는 구글 데이터센터도 없어, 고정밀 지도 데이터가 해외로 분산 저장될 수 있다는 점 또한 정부의 우려 대상이다.

현재 구글의 요청은 국토지리정보원이 운영하는 ‘측량성과국외반출협의체’를 통해 심의 중이며, 해당 협의체는 올해 8월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원래 예정됐던 5월 15일 회의는 연기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와 국토지리정보원은 공간정보를 국가 기술 경쟁력의 핵심 인프라로 보았다.

이에 공공기관, 연구기관, 스타트업 등 다양한 주체가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연구개발(R&D)과 기술 확산, 민간 참여 기반 확대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공간정보 산업 생태계 조성을 함께 추진한다.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 원장은 “고정밀 지도 데이터는 미래 혁신산업의 핵심 인프라인 만큼 네이버 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지도 구축 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시킬 것”이라 말했다.

또한 “이번 협력은 위치 및 장소 정보 최신화, 연계 서비스 발굴 등 민간 에서의 투자와 노력이 국내 공간정보산업 전반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가 보유한 지도 플랫폼과 공간지능 기술들이 더욱 혁신적인 서비스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이어서 “꾸준히 연구하고 축적해 온 기술들이 사용자 편익과 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다른기사보기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