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유심 해킹 속 디지털 취약계층 부가서비스 요금 논란

SK텔레콤(SKT) 유심 해킹 사태가 확산되는 가운데, 부모님의 휴대전화를 점검해보던 한 누리꾼의 SNS 글이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 공유된 ‘SKT 해킹 사태 의외의 순기능’이라는 게시물은 디지털 취약 계층인 고령자들의 통신 서비스 피해 실태를 드러냈다.
한 누리꾼은 “SKT 유심 사건 때문에 나도, 엄마도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해야겠다 싶어서 그간 한 번도 접속 안 해본 엄마의 티월드(T World)에 들어가 봤다”고 밝혔다.
그는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전 문득 엄마가 유료 부가 서비스 가입하신 게 있나 싶어서 확인해봤다가 진짜 순간 어이가 없었다”고 그때의 심정을 밝혔다.
그는 “엄마가 단 한 번도 써본 적 없는 온갖 유료 부가 서비스들이 잔뜩 가입돼 있었다.”라며
” 도대체 언제 가입했는지도 모르겠는데, 아마 기억도 못할 언젠가 휴대전화 개통 당시였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누리꾼이 공개한 화면에는 무려 16개의 유료 부가서비스가 등록되어 있었고, 매월 4만3684원이 자동으로 청구되고 있었다.
요금은 550원부터 많게는 1만1000원까지 다양했다.
누리꾼은 “진작 엄마 휴대전화 부가 서비스 가입 목록 좀 확인해 드릴 걸 속상했다가 이제라도 발견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경험은 비단 한 사례에 그치지 않았다.
다른 누리꾼들 역시 “엄마 휴대전화 유심 인증해 드리다가 부가 서비스 확인해보니 차도 없는데 블랙박스 관련 4000원짜리 부가 서비스가 가입돼 있더라”라며 비슷한 이야기를 전했다.
그 밖에도 “부모님이 앱 다운받다가, 본인 인증하다가 뭔지 모르고 ‘확인’ 눌러서 유료 서비스 가입되는 경우도 있더라”고 언급하며 많은 이들이 비슷한 사례를 공유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 10월까지 고령 소비자의 이동전화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542건에 달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의 피해구제 신청 품목에서 이동전화서비스는 매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피해 사유는 ‘계약불이행'(33.2%), ‘계약해지 위약금 과다'(19.4%), ‘부당행위'(17.2%), ‘청약철회 거절'(11.4%)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문제는 대부분 디지털 활용 능력이 부족한 고령 소비자들이 약정 조건이나 서비스 가입 내용을 명확히 인지하지 못해 발생한다.
단순한 가입 절차조차 어려운 상황에서 유료 부가서비스가 무심코 가입되고 매월 청구된다는 점은 심각한 구조적 문제로 지적된다.
SKT는 이번 유심 해킹 사태를 계기로 디지털 취약 계층을 위한 보호 방안 마련에 나섰다.
“70세 이상 고객 중 장애인, 국가 유공자 및 시각 장애인 등 유통망을 찾아가거나 직접 가입이 어려운 분들”을 대상으로 상담사가 직접 연락해 가입 방법을 안내하거나 대행하는 방식의 서비스를 시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실은 여전히 쉽지 않다.
온라인 접근이 어려운 고령자들이 유심 보호 서비스를 가입하거나 유심을 교체하기 위해 대리점 앞에 줄을 서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한 IT 유튜버는 자신의 영상에서 “장년, 노년층 같은 디지털 취약 계층이 유심 보호 서비스에 직접 가입해야 되고 유심 교체 받는 것도 생각보다 너무 힘들 거 같은데, 이런 분들을 위해 방문 서비스나 유심 택배 서비스를 하지 않는 게 아쉬운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