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AI로 신약 발굴하는 추론 플랫폼 개발 착수

0
KAIST가 추론으로 직접 신약을 찾아내는 인공지능(AI) 기술과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
KAIST가 추론으로 직접 신약을 찾아내는 인공지능(AI) 기술과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사진 출처-한국과학기술원 제공)
KAIST가 추론으로 직접 신약을 찾아내는 인공지능(AI) 기술과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
KAIST가 추론으로 직접 신약을 찾아내는 인공지능(AI) 기술과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사진 출처-KAIST 제공)

KAIST(한국과학기술원)가 스스로 질병을 추론하고 신약을 발굴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과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

KAIST 디지털바이오헬스AI연구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사업(AI 스타펠로십)’에 선정돼 이달부터 2030년 12월까지 총 115억 원을 투입하는 대형 연구과제를 수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신진 연구자를 중심으로 혁신적 AI 연구 생태계를 구축하고, 바이오·의료 분야의 전문 지식체계를 활용 및 자동 확장할 수 있는 ‘추론형 AI 에이전트’를 개발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책임연구는 김재철 AI대학원 예종철 교수가 맡으며, KAIST의 최윤재, 이기민, 안성수, 박찬영 교수 등 신진 연구자들과 주재걸, 김우연 교수 등 중견 연구자들이 함께 참여한다.

연구팀은 KAIST 내 다양한 연구실과 협력해 AI 추론의 이론적 기반부터 실제 활용 가능성까지 아우르는 전 주기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주요 과제로는 의료 지식체계를 통합해 진단과 치료의 정밀성을 높이는 고성능 추론 모델 구축, 기호 기반 추론과 신경망 모델을 융합한 AI 플랫폼 개발, 그리고 ‘셀 온톨로지(cell ontology)’ 기반의 신약 개발 및 바이오마커 발굴 기술 확보가 포함됐다.

삼성서울병원, 네이버클라우드, 히츠 등 산업계 및 의료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임상 진단에 활용 가능한 AI 솔루션, AI 기반 분자 타깃 탐색, 지식 확장이 가능한 AI 플랫폼의 상용화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예종철 교수는 “AI 추론 기술에 대한 국제 경쟁이 본격화된 지금, KAIST가 세계 최고 수준의 신진 연구자들과 함께 바이오·의료 분야에 특화된 AI 기술을 주도하게 된 점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 말했다.

그는 “과제 종료 시점에는 연구팀이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박사후연구자 및 임용 7년 이내의 교원이 프로젝트 리더(PL)로 참여하는 신설 국가 사업으로, 대학 내 여러 연구실과 산업체가 컨소시엄 형태로 협력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AI와 바이오 융합 기술의 전략적 선도 및 산업 응용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