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AI 기반 운전자 반응 내비 기술 TRC 등재

0
카카오모빌리티
AI 내비게이션 등재했다 (사진 출처 -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
AI 내비게이션 등재했다 (사진 출처 –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가 운전자의 실제 주행 반응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경로 안내 기술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4일 자사의 AI연구개발팀이 서울대학교 김동규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개발한 ‘운전자 반응 기반 경로 탐색 기술’이 교통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TRC(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번 논문은 내비게이션이 안내한 경로와 실제 운전자 주행 데이터를 비교·분석해, 기존 내비게이션이 반영하지 못한 도로의 잠재 특성을 경로 탐색에 활용하는 기술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전통적인 내비게이션은 도로 폭, 속도 제한, 차선 수 등 물리적 요소에만 기반해 길을 안내하지만, 이 같은 방식은 불법 주정차, 진출입 불편 지역 등 실제 주행 불편 요소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 문제를 ‘경로 준수율’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해결했다.

운전자가 내비게이션이 안내한 도로를 얼마나 실제로 따르는지를 분석해 도로의 ‘통행 가치’를 자동으로 산정하고, 이를 AI가 학습해 향후 경로 탐색에 반영하는 구조다.

해당 방식은 실제로 서비스에 적용돼 유의미한 성과를 낳았다.

논문에 따르면 기술 도입 초기 일주일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빠른 경로’에서 운전자 준수율이 64.22%에서 70.87%로 6.65%포인트 상승했다.

‘고속도로 우선 경로’는 71.32%에서 72.91%, ‘큰길 우선 경로’는 70.79%에서 72.40%로 개선됐다. 이는 단순 안내를 넘어 실제 운전자가 체감하는 경로 품질이 향상됐음을 의미한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수백만 개에 달하는 전국 도로 구간의 통행 가치를 정밀하게 산정하고, 실시간 교통 상황까지 반영해 경로 안내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단순한 통계 기반이 아닌 실제 운전자 데이터를 반영한 ‘행동 기반 길안내’라는 점에서 학계와 산업계 모두의 주목을 받고 있다.

논문의 제1저자인 김푸르뫼 카카오모빌리티 AI연구개발팀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내비게이션이 제공하는 경로 정보와 실제 주행 간의 불일치를 수치화하고, 이를 개선된 경로로 환류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췄다”며 “실제 주행 시간, 편의성 등 경로 품질 전반에서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라고 말했다.

해당 연구는 단순한 기술적 발전을 넘어, AI가 실시간 교통 현장을 인지하고 인간의 판단 패턴을 학습해 서비스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의 진일보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