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촌동역 일대 고밀 복합개발…역세권·상권 기능 강화

서울 강동구 둔촌동역 일대가 고밀 개발과 지역상권 활성화를 겸비한 복합 생활거점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10일 제12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둔촌동역 주변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4년 최초 결정 이후 10년 만의 전면 재정비로, 급변한 지역 여건과 정책 방향을 반영해 도심 구조를 재정립하는 의미를 지닌다.
지구단위계획 대상지는 지하철 5호선 둔촌동역을 중심으로 약 25만㎡ 규모다.
양재대로를 따라 들어선 근린생활시설, 이면의 전통시장과 저층 주거지가 혼재해 있는 이 지역은, 최근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로 유동인구가 급증하면서 역세권 중심기능과 상권 재편의 필요성이 커졌다.
서울시는 이번 재정비를 통해 양재대로변의 관리를 강화하고, 전통시장과 특화상권을 연계한 보행환경 및 생활 편의를 개선할 방침이다.
우선 양재대로 북측으로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약 10만㎡ 확대하고, 이 구역 내 업무·의료 등 주민생활지원 기능을 권장용도로 설정했다.
여기에 개발 규모 제한을 폐지하고, 업무시설의 용도 규제를 완화해 신축 유인을 높이기로 했다.
또한 공공성과 실현 가능성을 동시에 높이기 위한 ‘특별계획구역’도 설정됐다.
해당 구역에는 기존 공동주택 불허 규정을 일부 완화하고, 주거복합 개발을 허용함으로써 역세권 고밀 개발과 전통시장 활성화를 병행할 수 있도록 했다.
공공기여 방안도 구체화해 지역기능 강화와 조화를 이루는 구조로 설계됐다.
이면 지역은 운동·교육시설 등 특화용도 도입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기능을 강화하고, 먹자골목 등 전통시장 인근 구역에는 음식점 등 가로활성화 시설 도입 시 주차장 설치 기준을 일부 완화해 소규모 필지 개발을 유도한다.
이 같은 조치는 자생적 상권 성장을 지원하고, 지역경제의 활력을 끌어올리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증가하는 유동인구에 대응한 보행환경 개선도 포함됐다. 주요 보행축에는 벽면한계선을 설정해 보행 안전을 확보하고,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와 저층 이면부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건축선 조정으로 접근성도 향상시킬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번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둔촌동역 일대를 역세권 중심기능과 생활친화형 상권이 조화를 이루는 복합 지역거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서울시 도시공간본부 조남준 본부장은 “이번 둔촌동역 주변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는 변화된 생활권 구조에 대응해, 양재대로변 중심기능과 지역 상권의 활력을 함께 강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