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김포·부산·구리 3대 교통 인프라 사업 예타 모두 통과

0
국토부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노선 및 개요도. (사진 출처-국토교통부 제공)
국토부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노선 및 개요도. (사진 출처-국토교통부 제공)

수도권 서북부에서 서울 도심으로의 접근성을 개선할 대규모 철도사업이 본격화된다.

국토교통부(국토부)는 10일, 김포~서울을 연결하는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수도권 교통 혼잡 해소와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추진되는 핵심 인프라 사업의 본격 착수를 의미한다.

서부권 광역급행철도는 경기도 김포 장기역에서 출발해 인천 계양, 대장, 부천 등을 거쳐 부천종합운동장역까지 약 21km의 노선을 신설하고, 이후 GTX-B노선과 연계해 서울 청량리역까지 총 49km를 직결 운행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해당 노선이 개통되면 수도권 서북부에서 서울 동북부까지 환승 없이 이동할 수 있어 통근시간은 약 20~30분대로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김포골드라인을 포함한 주변 철도 노선들의 과밀 문제가 지속된 가운데, 새로 추진되는 광역급행철도는 이러한 병목 현상을 완화하고 출퇴근 시간대 혼잡도를 분산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김포와 인천 계양, 부천 등 인구 밀집지역의 대중교통 이용 환경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한편 국토부는 같은 날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 사업도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 노선은 부산 노포역에서 울산 KTX역까지 총 47.6km 구간을 연결하며, 향후 부산도시철도, 양산선, 울산도시철도 등과 연계돼 동남권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는 핵심 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광역철도망 확장은 지역 간 이동 편의성 향상은 물론,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 유출 방지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이와 함께 구리~성남 지하 고속도로 건설 사업도 예타를 통과했다.

경기도 구리시 퇴계원IC에서 성남 판교JCT까지 총 31.5km에 걸쳐 왕복 4~6차로의 지하 고속도로를 신설하는 이번 계획은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의 상습 정체 구간 해소를 목표로 한다.

도로 용량 확대와 함께, 인근 3기 신도시인 남양주 왕숙·하남 교산 등에서 유입될 교통 수요에 대비하는 선제적 조치다.

국토부는 이번 세 사업에 대해 기본설계, 실시설계 등 후속 절차를 조속히 진행해 2029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에 통과된 사업들이 해당 지역의 핵심 인프라인 만큼, 후속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하여 빠른 시일 내에 지역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수도권 교통혼잡 완화, 지방권 교통 인프라 구축 등 지속적인 교통망 확충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