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드플래시 가격 3분기 최대 10% 상승 전망…감산 효과 본격화

0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차세대 고용량 낸드 제품으로 내세운 QLC 기반 9세대 V낸드 칩 모습. (사진 출처-삼성전자)
낸드플래시
삼성전자가 차세대 고용량 낸드 제품으로 내세운 QLC 기반 9세대 V낸드 칩 모습. (사진 출처-삼성전자)

낸드플래시 가격이 올해 3분기 들어 본격적인 반등세를 보일 전망이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9일 보고서를 통해 3분기 전체 낸드플래시 가격이 전분기 대비 5∼10% 인상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2분기 인상률(3∼8%)보다 확대된 수치다.

트렌드포스는 “상반기 (업체들의) 감산과 재고 축소 후 낸드 플래시 시장은 수요와 공급 균형에서 상당한 개선을 보였다”며 “메모리 공급업체들이 고수익 제품으로 생산 역량을 전환함에 따라 전체 유통 중인 (낸드의) 공급량은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낸드 시장은 수요 감소와 공급 과잉으로 인해 가격 하락세를 겪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키옥시아, 마이크론 등 주요 업체들은 업황 둔화의 충격으로 낸드 부문 매출이 급감했으며, 재고 부담도 컸다.

하지만 올해 들어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공급량을 줄이면서 낸드 가격은 점차 상승세로 전환되고 있다.

제품별로는 기업용 SSD 가격이 5∼10%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축이 늘어나면서 서버용 SSD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소비자용 SSD도 윈도우 10 지원 종료와 신형 CPU 출시로 인한 PC 교체 수요가 반영되며 3∼8%가량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스마트폰 시장은 여전히 수요 회복이 더딘 상황이다.

이에 따라 모바일에 사용되는 eMMC와 UFS 낸드 가격은 0∼5% 수준의 소폭 상승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낸드 제조에 활용되는 3D 웨이퍼 가격도 영향을 받고 있다.

트렌드포스는 제조사들이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전략을 바꾸면서 웨이퍼 구매도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2분기에는 15∼20%가량 인상됐던 웨이퍼 가격이 3분기에는 8∼13% 수준으로 오름폭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 낸드 가격 인상은 단기적인 수급 불균형을 넘어 메모리 업계 전반의 구조조정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반기에도 감산 기조가 이어질 경우 추가 상승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