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페이코 “외식 물가 인상 속 식권 사용처 다변화”

NHN페이코 가 자사 ‘모바일 식권 서비스’를 통해 수집한 상반기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점심값이 8년 사이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식권 사용처는 구내식당을 넘어 편의점, 카페, 배달앱 등 디지털 플랫폼으로 확장되며 외식 트렌드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번 분석은 2025년 상반기 동안 전국 2300개 기업, 약 36만 명이 이용한 약 900만 건의 페이코 식권 결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분석 결과, 올해 상반기 평균 점심 식비는 9500원으로, 2017년의 6000원 대비 8년간 약 58%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지역별 점심값 격차도 뚜렷하게 드러났다.
수도권 12개 주요 업무 권역 중 삼성동은 평균 1만5000원으로 가장 높은 식비를 보였으며, 이어 강남(1만4000원), 여의도·서초(1만3000원), 마곡·판교(1만2000원), 송파·종로(1만1000원), 가산·구로(1만원), 강동·동대문(9000원) 순이었다. 12개 권역 평균은 1만1583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이러한 수치는 프리미엄 외식 브랜드 밀집, 기업 밀집도, 상권의 고급화 등 복합적 요인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서울 강남권, 판교 등 테크 중심지에서는 외식 물가 상승과 함께 복지 식대 규모도 동반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눈에 띄는 변화는 식권 사용처의 다양화다. 과거 구내식당 중심이었던 식권 사용이 점차 요기요 같은 배달앱, 편의점(CU·GS25·세븐일레븐), 프랜차이즈 베이커리(뚜레쥬르·파리바게뜨), 프리미엄 커피전문점(스타벅스·투썸플레이스·아티제) 등으로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유연근무제 확산, 사무실 내 간편식 소비 증가, 재택근무 중 배달 활용 등 변화하는 업무환경을 반영한다.
NHN페이코 관계자는 “축적된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기업별 맞춤형 서비스를 정교화하고, 유연한 복지 솔루션으로 기업과 임직원 모두의 만족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