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굉음·진동’ 부산 테마파크 놀이기구, 설치 과정 허술 논란

부산 롯데월드의 대형 놀이기구 ‘자이언트 스윙’에서 발생한 굉음과 진동 현상으로 인해 운행이 9일째 중단된 가운데, 해당 놀이기구의 설치 과정에서부터 허술한 관리 정황이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다.
23일 국민의힘 곽규택 의원실이 공개한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의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자이언트스윙 사고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사고의 원인은 자이언트 스윙 구동부의 ‘원인불명 동기 제어’ 문제로 추정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심각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했으며, 구동부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도 확인됐다.
롯데월드 측은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놀이기구를 제작한 해외 업체와 함께 정확한 조사에 나선 상태다.
하지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KTC가 실시한 정기 검사에서는 자이언트 스윙이 ‘적합’ 판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별도로 관리해야 할 사항 3가지를 발견해 점검 업체가 ‘특기사항’으로 기록하고 관리를 권고했다.
이와 관련해 가장 눈에 띄는 문제는 구동부 피니언(연결 톱니바퀴) 2번과 3번 부위에 대한 불량 조립이었다.
검사 기관은 이 부위가 볼트로 최종 체결돼야 하지만, 실제로는 볼트 위에 용접이 돼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
운영사 측은 2021년 최초 설치 당시 체결부에 문제가 발생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볼트 위에 용접을 실시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검사 기관은 “통상적인 기계적 조립 방법이 아니므로, 이를 특기사항으로 관리하라”고 권고했다.
또한, 승용부 상부 고정 볼트와 기둥 고정 볼트가 역방향으로 체결된 점도 발견돼, 이에 대해서도 별도 관리를 권고받았다.
곽규택 의원실 관계자는 “최초 설치 때부터 문제점이 있었고, 통상적인 안전 조치가 아닌 임시방편 식의 용접으로 문제를 덮으려 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놀이기구의 핵심인 구동부를 이렇게 허술하게 관리했다는 것은 이용자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롯데월드 관계자는 “용접은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이며, 용접 부위에 대해서는 일일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역방향 체결된 볼트 역시 법정 검사에 합격했고, 전문 엔지니어가 운행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지난해 9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지자체가 안전보건진흥원에 의뢰해 롯데월드를 점검한 결과,
구동장치 톱니 일부가 손상돼 교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롯데월드 측은 이와 관련해 “자체 점검 과정에서 손상을 확인해 교체한 것으로, 안전보건진흥원 점검 중 새롭게 지적된 사항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고 보고서와 점검 내역이 공개되면서, 초기부터 불완전한 관리와 안전 점검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지난 14일 오후 7시 45분께 ‘자이언트 스윙’이 운행 중일 때 발생한 굉음과 진동은 탑승객 18명에게 3분간의 공포를 안겨줬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이번 사고로 인해 부산 롯데월드를 비롯한 전국 주요 테마파크 놀이기구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민 안전을 위한 더욱 철저한 점검과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곽규택 의원실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롯데월드 부산뿐 아니라 국내 주요 테마파크의 안전 실태를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안전 강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들이 안심하고 놀이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법규와 점검 시스템을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고는 놀이기구 설치 및 관리의 기본적인 안전 수칙 준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됐다.
놀이기구는 고도의 기술력과 철저한 관리가 필수적인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이번처럼 용접으로 임시 조치하고 역방향 볼트 체결 등 기본적인 조립 과정에서 문제가 발견된 점은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진다.
이용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할 테마파크 운영자와 관련 당국의 책임 있는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롯데월드 측은 추가 점검과 정밀 진단을 실시하고, 안전 관련 모든 문제점을 신속하게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도 고객 안전을 위한 예방 조치와 함께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해 신뢰 회복에 나설 계획이다. 국내 테마파크 산업 전반에 대한 안전 기준 강화와 엄격한 관리 체계 확립도 함께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