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반지하 침수경보 도입…풍수해 대책 본격 가동

서울시가 여름철 기후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5 풍수해 안전대책’을 발표하고 반지하 침수경보시설 등 신기술을 도입한다.
이번 대책은 반지하 주택 밀집 지역부터 하천 산책로, 지하차도 등 침수 취약 지역에 대한 실시간 감시를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시는 오는 15일부터 10월까지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하며 집중호우와 같은 풍수해에 대응할 계획이다.
특히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관악구, 동작구, 영등포구 등 15개 골목길에는 전국 최초로 ‘반지하 침수경보시설’을 시범 도입한다.
레이더 센서 기반의 수위 감지 장비는 좁은 골목에도 설치 가능해 반지하 침수 위험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지하차도’ 98개소는 중점관리대상으로 지정해 차도면이 10cm 이상 침수되면 즉시 통제된다.
‘하천 산책로’는 예비특보 단계부터 진출입 차단시설과 자동경보시설을 선제적으로 가동한다.
또한 자율방재단과 공무원, 경찰 등으로 구성된 하천순찰단이 실시간 점검에 나선다.
산사태 우려 지역 492곳은 산림청 예측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대피 체계를 가동한다.
재해약자 1130가구에는 ‘동행파트너’ 2887명이 매칭돼 침수 예보 시 대피를 돕는다.
서울시는 침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빗물을 담는 자연형 저류지인 ‘빗물그릇’도 확대한다.
기존 서울대공원, 청계저수지 등 7개소에 더해 올해는 서서울공원, 평화의공원, 송파나루공원, 율현공원, 어린이대공원 등 5개소를 추가해 총 12곳을 운영한다.
이로써 최대 75만7000톤의 빗물 저장이 가능해진다.
또한 강남역, 도림천, 광화문 등 주요 지역에는 올해 중으로 집중호우 시 빗물을 저장하고 배수할 수 있는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을 착공한다.
빗물펌프장 9개소와 빗물저류조 3개소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확충된다.
정밀 기상 대응을 위해 서울시는 수도권기상청과 실시간 핫라인을 구축했다.
이 전용선은 서울시 재난안전상황실과 기상청 간 정밀 예보와 변경 사항을 신속히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폭염과 폭우 등 기후위기가 전 지구적 현상으로 나타나 일상을 위협하는 상황이 된 만큼 재난 대비는 더 철저해져야 한다”라 말했다.
이어 “시스템과 시설 점검 등 빈틈없는 사전 준비로 유관기관과 함께 풍수해 대책을 실행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