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 ‘장기적 울분’…사회가 공정하지 않다 생각할수록 심각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이 ‘장기적 울분 상태’에 놓여 있다는 정신건강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응답자 10명 중 7명은 사회가 공정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공정성 인식이 낮을수록 울분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건강재난 통합대응을 위한 교육연구단은 설문조사기관 케이스탯리서치를 통해 지난 4월 15일부터 2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증진 관련 조사를 실시했다.
정신건강 수준을 묻는 질문에 48.1%는 ‘좋지 않다’고 응답했다. ‘보통’은 40.5%, ‘좋다’는 11.4%에 불과했다.
평균 점수는 5점 척도 기준 2.59점으로, ‘보통’인 3점에 미치지 못했다.
정신건강이 ‘좋지 않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가장 큰 원인으로 ‘경쟁과 성과를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37.0%)를 꼽았다.
이어 ‘타인·집단의 시선과 판단이 기준이 되는 사회 분위기’(22.3%)가 뒤를 이었다.
울분 측정 결과, 응답자의 12.8%는 ‘심각한 울분 상태’(2.5점 이상)를 보였고, 이들을 포함한 54.9%는 울분이 장기화된 상태(1.6점 이상)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가 17.4%로 가장 높았고, 60세 이상은 9.5%로 가장 낮았다.
소득별로 보면 월 소득 200만 원 미만 집단의 심각한 울분 비율은 21.1%에 달했고, 1000만 원 이상 고소득층은 5.4%에 불과했다.
계층 인식별로는 ‘하층’ 응답자의 16.5%, ‘상층’의 15.0%가 심각한 울분 상태로 조사됐다.
울분을 유발하는 정치사회적 사안 중에서는 ‘입법·사법·행정부의 비리나 잘못 은폐’에 대해 울분을 느낀다는 응답이 85.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정치·정당의 부도덕과 부패’(85.2%), ‘안전관리 부실로 인한 사회 참사’(85.1%)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적으로 세상은 공정하다고 생각한다’는 문항에 동의하지 않은 응답자는 69.5%였다.
반면 ‘나는 대체로 공정하게 대우받는다’는 문항엔 58.0%가 동의해, 사회적 공정성과 개인적 공정성에 대한 인식 격차가 드러났다.
스트레스에 대한 응답에서도 47.1%가 지난 1년간 건강에 영향을 줄 정도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특히 40대(55.4%)와 30대(51.7%),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집단(53.8%)이 취약군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역할과 책임 수행이 어려울 정도의 정신건강 위기를 겪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27.3%였다. 이들 중 51.3%는 자살을 생각했고, 13.0%는 실제로 시도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스트레스 대처 방식으로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털어놓는다’가 39.2%로 가장 많았으나, ‘혼자 참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38.1%에 달했다. 전문가 도움을 구한다는 응답은 15.2%에 그쳤다.
연구를 총괄한 서울대 유명순 교수는 “사회 안전·안정성을 높게 유지하고, (사회적) 믿음을 굳건히 하는 것이 개인과 집단의 정신건강을 위하는 길”이라 말했다.
이어 “앞으로 의료적 노력은 물론 사회적 차원에서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