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산불 국가유산 피해 복구에 488억 원 투입 예정

지난 3월 영남 지역을 덮친 초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국가유산 복구에 약 488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유산청은 행정안전부 등과 합동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비와 지방비, 복권기금, 민간 기부금 등을 합쳐 약 488억 원의 복구 예산이 필요하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산불은 서울 여의도 면적의 156배에 달하는 산림을 태우며 국가유산 36건에 피해를 입혔다.
국가지정유산은 보물,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민속문화유산 등 13건, 시도지정유산은 유형문화유산, 민속문화유산, 문화유산자료 등 23건으로 파악됐다.
경북 안동에서만 15건이 피해를 입었고, 이어 청송 9건, 의성 6건 순이었다.
대표적 피해 사례로는 의상대사가 창건한 천년고찰 고운사의 연수전과 가운루가 전소된 사건이 꼽힌다.
석조여래좌상은 대좌를 미처 옮기지 못해 손상을 입었고, 다수의 고택과 서원은 검게 그을린 채 남겨졌다.
국가유산청은 올해 중 부재 수습, 긴급 보존처리, 복구 설계 등을 우선 처리한 뒤, 2025년부터 본격적인 복구 공사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피해 유산의 가치 훼손 정도와 시급성, 추가 훼손 가능성 등을 종합 고려해 우선 복구 대상부터 결정할 예정이다.
산불을 피해 미리 박물관 등으로 이송된 동산문화유산도 있다.
국보와 보물 등 총 19건 1,556점은 현재 지자체와 협의하에 원래 보관 장소로 이동되고 있으며, 소산 당시부터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졌다.
자연유산의 경우에는 ‘자연유산법’에 따라 병충해 방제, 영양 공급, 가지치기, 안전지지대 설치 등 생육 환경 개선과 함께 피해 확산 방지 조치를 병행할 예정이다.
주요 수종의 자연 복원 유도를 위한 지속적인 점검도 이뤄진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산불 피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월 24일부터 재난안전상황실을 가동해 왔다.
3월 25일부터 4월 9일까지는 국가유산 재난 위기 경보를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유물 긴급 소산, 방염포 설치, 방화선 구축 등을 실행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산불로 훼손된 국가유산이 본래의 가치를 회복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국가유산청은 향후 토사 유출, 산사태 등 2차 피해 방지와 현장 안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