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AI 모델 ‘카나나 1.5’ 오픈소스 공개…상업적 활용도 허용

카카오는 23일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언어모델 ‘카나나(Kanana)’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카나나 1.5’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개는 국내 인공지능 생태계 활성화를 목표로 진행된 것으로, 상업적 목적의 활용까지 허용하는 아파치 2.0 라이선스를 적용했다.
이번에 허깅페이스(Hugging Face)를 통해 공개된 모델은 총 4종으로, 각각 카나나-1.5-8b-베이스, 카나나-1.5-8b-인스트럭트, 카나나-1.5-2.1b-베이스, 카나나-1.5-2.1b-인스트럭트다.
이는 지난 2월 공개된 카나나 나노 모델보다 성능을 한층 개선한 버전으로, 다양한 언어 처리 기능과 함께 코딩, 수학, 펑션 콜링 등 특정 분야에서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이뤘다.
카카오는 이번 카나나 1.5 모델에서 특히 에이전틱 AI 구현을 위한 기능 고도화에 집중했다.
글로벌 대형 언어모델과 비교해도 한국어 특화 성능은 뛰어난 수준이며, 평균적으로 기존 대비 약 1.5배의 정확도 향상을 달성했다.
특히 긴 문맥 이해와 간결하고 정확한 응답 출력 능력이 강화돼 실사용 환경에서도 높은 체감 성능을 제공한다.
카카오는 현재 더욱 고도화된 ‘카나나 2’ 모델도 개발 중이다.
긴 입력 처리 성능을 한층 향상시키는 동시에 추론의 정밀도, 구조적 효율성까지 개선한 차세대 언어모델로 진화를 예고했다.
향후 모델은 멀티모달 처리 능력까지 강화될 예정으로, 텍스트와 음성, 이미지 등의 통합 이해도 가능하게 될 전망이다.
이번 오픈소스 공개는 국내외 AI 개발자와 연구자, 기업들이 카카오 모델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튜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특히 상업적 활용이 허용된 만큼, 산업 현장이나 서비스에 직접 적용하고자 하는 수요에도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 카나나 프로젝트를 이끄는 김병학 성과리더는 “이번 오픈소스 공개로 AI 기술을 통한 성장과 경쟁을 함께하는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라 말했다.
또한 “기술 고도화와 더불어 오픈소스의 본질적인 가치 또한 함께 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카오는 지난해 자체 개발 AI 모델 ‘카나나’의 주요 라인업을 공식 테크 블로그를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해 왔다.
텍스트와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정보를 통합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 모델 ‘카나나-o’의 성능도 최근 소개했다.
향후 더욱 진화된 언어모델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오픈소스 기반의 협력적 기술 확장을 이어갈 방침이다.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