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유 원유 가격 2년째 동결…가격 인상 없이 안정 유지

우유의 원재료인 원유 가격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동결되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들로 구성된 낙농진흥회는 올해 원유 가격 협상을 위한 소위원회를 개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는 원유 생산비 변동 폭이 협상 기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협상은 원유 생산비 증감 폭이 4% 이상일 때만 진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지난해 원유 생산비는 전년 대비 1.5% 증가에 그쳐 협상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리터(ℓ)당 1084원으로 유지되고, 치즈와 분유 등 가공용 원유 가격도 기존과 같은 리터당 882원으로 동결된다.
원유 가격은 유업체가 개별적으로 정할 수 있으나, 대부분 낙농진흥회의 기본 가격을 기준으로 삼아왔다.
지난해에는 원유 생산비가 전년보다 4.6% 상승해 소위원회를 열어 협상을 진행했으나, 고물가 상황을 고려해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동결했고, 가공유용 원유 가격은 오히려 5원 인하한 882원으로 결정됐다.
이번 결정으로 음용유용 원유 가격은 2년째 같은 수준을 유지하게 됐으며, 과거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 연속 동결 사례가 있어 안정적인 가격 정책이 지속되는 양상이다.
이번 원유 가격 동결 결정은 국내 우유 시장에 일정한 안정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원유 가격이 동결됨에 따라 소비자들이 구입하는 흰 우유 제품의 가격이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식품물가 상승 부담 완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다만, 각 유업체의 제품 가격은 원유 가격뿐만 아니라 유통비, 인건비, 마케팅 비용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소비자 가격 변동 여부는 업체별 가격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원유 가격 동결은 낙농업계와 유업계가 협력해 원가 상승분을 최소화하고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도 원유 생산비 변동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안정적인 우유 공급과 가격 관리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유 가격은 우유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지표다. 원유 가격 변동은 낙농가의 경영 안정성과 우유 소비자 가격을 좌우하며, 국내 우유 시장의 경쟁력 확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몇 년간 국제 곡물가 상승, 환율 변동, 생산 비용 증가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원가 부담이 커졌지만,
국내 업계가 가격 동결을 선택한 것은 소비자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국내 우유 산업은 지속 가능한 성장과 안정적인 공급 체계 구축을 위해 생산성 향상과 품질 관리에 힘쓰고 있다.
정부와 업계는 원유 가격과 생산비용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 정책을 병행해 농가와 유가공업체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이번 원유 가격 동결 소식에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우유는 우리나라 국민의 일상 식생활에서 필수적인 식품으로, 가격 안정은 가계 부담 경감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가격 동결이 이어질 경우 소비자들이 건강한 식생활을 꾸준히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일부에서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변동 등 외부 변수로 인해 향후 원유 가격 인상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신중한 시각도 존재한다.
이에 업계에서는 가격 안정화를 위해 생산 효율성 강화와 비용 절감 방안 마련에 더욱 집중하는 추세다.
지난해 원유 가격 동결 결정 당시에도 국내 우유 시장은 물가 상승 압박 속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하며 소비자들의 부담을 덜어준 바 있다.
이번 2년 연속 동결은 그러한 흐름을 이어가는 동시에 낙농 산업의 체질 개선과 경쟁력 확보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농가와 유업계는 앞으로도 상호 협력하며 가격 안정과 품질 향상에 매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도 지속적으로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관련 법규와 제도를 개선하는 데 힘쓸 예정이다.
특히,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축산업 육성도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결론적으로 올해 원유 가격 동결은 국내 우유 시장의 안정과 소비자 부담 경감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시에 국내 낙농업계가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소비자와 생산자가 상생할 수 있는 우유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