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총파업 유보… 출근길 정상 운행

서울 시민들의 출근길을 긴장하게 했던 서울 시내버스 총파업이 극적으로 유보되면서, 28일 모든 시내버스는 평소처럼 정상 운행됐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 마비에 대한 우려는 현실화되지 않았고, 시민들은 평온한 아침을 맞이했다.
서울 버스노조는 이날 새벽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의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이 최종 결렬된 직후, 용산구 노조 사무실에서 긴급 총회를 열고 총파업 여부를 묻는 총투표를 실시했다.
이 자리에는 전체 지부위원장 63명 중 60명이 참석했으며, 그 가운데 49명이 파업 유보에 찬성함으로써 전격적인 입장 선회를 결정했다.
당초 노조는 이날 첫차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이었지만, 새벽 4시를 넘기지 않고 입장을 바꿨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전날 오후 3시부터 이어진 막판 협상은 통상임금 적용과 임금체계 개편 등 핵심 쟁점을 끝내 좁히지 못하고 결국 28일 자정 직후 결렬을 선언한 바 있다.
하지만 노조는 무의미한 파업보다는 실효적인 압박 전략을 선택했다.
노조 측은 “파업을 감행하더라도 사측과 서울시의 태도는 바뀌지 않을 것이란 판단에 따라 권리구제를 위한 소송과 고용노동부 진정을 우선하기로 했다”며 “이를 통해 명확한 법적 입장을 확보한 후 교섭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결정에 따라 서울시는 즉각 수립해두었던 비상수송대책을 해제할 방침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파업 유보로 출근길 시민 불편이 최소화돼 다행”이라며 “앞으로도 돌발 상황에 대비해 시민 불편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버스조합 역시 노조의 결정을 환영하며, 임단협 재개 의지를 밝혔다.
조합 측은 “노조의 파업 유보를 존중하며, 조속히 교섭을 재개할 것”이라며 “통상임금 확대 적용과 임금체계 개편을 통해 실질적인 처우 개선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파업 유보 결정이 일시적인 봉합에 불과하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통상임금 범위와 임금 체계 개편에 대한 노사 간 인식차가 여전히 큰 만큼, 향후 교섭과정에서 충돌 가능성은 여전하다.
업계는 법적 판결과 진정을 통해 쟁점이 분명히 정리되기 전까지는 노사 협상도 실질적 진전을 보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한편, 서울과 달리 지방에서는 버스 파업이 현실화됐다.
창원과 부산의 시내버스 노조는 협상 결렬에 따라 이날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했고, 울산은 서울과 마찬가지로 파업을 유보했다.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