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개별공시지가 4.02% 상승… 강남·용산 5% 돌파
2025년 1월 1일 기준 서울의 개별공시지가 평균 4.0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승률인 1.33%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서울 전역에서 공시지가가 두 자릿수 이상으로 뛴 지역은 없었지만 고가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오름세를 보였다.
서울시는 30일 총 86만1,300필지의 개별공시지가를 결정·공시하며 이같이 밝혔다.
개별공시지가는 토지의 특성과 기준이 되는 표준지공시지가를 반영해 감정평가사가 검증한 단위면적당 토지가격으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각종 조세와 부담금 부과 기준이 된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가 5.47%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이어 용산구(5.21%), 성동구(4.82%), 서초구(4.81%), 송파구(4.05%)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서울시 관계자는 “표준지공시지가 상향에 따른 연쇄 효과로 개별공시지가 역시 일정 수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전체 필지 중 98.8%인 85만1,037필지가 상승했고, 하락한 필지는 0.6%에 해당하는 5,273필지에 그쳤다. 공시지가가 전년도와 동일한 경우는 2,618필지, 신규 산정된 토지는 2,372필지로 집계됐다.
서울에서 공시지가가 가장 비싼 토지는 올해도 중구 충무로1가 24-2번지에 위치한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으로, ㎡당 1억8,050만원에 달했다.
이 부지는 2004년부터 20년째 전국 최고가 토지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공시지가 최저가는 도봉구 도봉동 산30번지의 자연림으로, ㎡당 6,730원을 기록해 최고가 토지와 무려 2만6천배가 넘는 격차를 보였다.
서울시는 이의신청 기간 동안 감정평가사 상담제도도 병행 운영한다. 개별공시지가 조회는 서울 부동산정보광장 또는 국토부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며, 상담은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예약할 수 있다.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