빽다방 디저트 곰팡이 논란 확산…더본코리아 “제조사 책임” 해명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외식기업 더본코리아가 운영하는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 ‘빽다방’이 디저트 제품에서
곰팡이 의심 이물질이 발견되며 논란에 휩싸였다.
최근 ‘가성비 커피’ 이미지로 대중의 선택을 받아온 빽다방이 품질 논란에 직면하면서 소비자 신뢰에 타격을
입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제의 제품은 빽다방에서 판매 중인 디저트 메뉴 ‘가바밥알떡’으로, 곰팡이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제품에 다수 발견됐다는 주장이 잇따라 제기됐다.
20일 온라인 대학생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을 비롯해 각종 커뮤니티에는 ‘빽다방 가바밥알떡 조심하시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확산됐다.
게시글 작성자 A씨는 서울 지역의 한 빽다방 매장에서 해당 디저트를 배달 주문했으나, 제품을 수령한 뒤 곰팡이가 덕지덕지 묻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공개 된 사진에는 유통기한이 남아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제품 겉면에 회백색의 곰팡이로 보이는 이물질이 선명히 확인됐다.
A씨는 “매장에 문의했더니 냉동 보관한다고 했는데, 자주 시켜 먹던 메뉴에서 이런 일이 처음 발생했다”고
전했다.
비슷한 사례는 앞선 8일에도 등장했다.
또 다른 커뮤니티 이용자 B씨는 “5월 3일에 빽다방에서 커피와 함께 가바밥알떡을 배달 주문했는데, 유통기한이 넉넉히 남은 상태였음에도 한 입 먹고 나서 보니 디저트 한쪽에 곰팡이가 피어 있었다”고 밝혔다.
B씨가 공개한 사진 역시 해당 디저트의 포장지를 개봉한 상태에서 표면에 퍼진 곰팡이 흔적이 뚜렷하게 보였다.
그는 “더본코리아는 제조사 잘못이라고 하고, 제조사는 도의적 책임으로 10만 원을 제시하며 합의서를 요구했다”며, “소비자는 이 과정에서 누구에게도 제대로 된 사과나 책임 있는 대응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B씨는 제품을 섭취한 뒤 병원에 곧장 가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상에서 제외됐으며, 결국 2,300원의 제품 환불만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더본, 빽다방, 제조사 모두가 책임을 회피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더본 브랜드 제품은 믿고 소비할 수 없을 것 같다”고 불만을 표했다.
문제가 확산되자 더본코리아 측은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회사는 “해당 제품은 냉동 완제품 상태로 제조사에서 납품되며, 매장에서는 필요 수량만 냉장 해동해 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가 발생한 매장에 대해 확인한 결과, 유통기한 및 상미기한에는 이상이 없었다”고 해명했다.
다만 더본코리아는 이번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현재 제조사와 공급·유통 과정 전반에 대한 정밀 점검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은 “정밀 점검 결과에 따라 전량 회수도 포함한 후속 조치를 검토 중”이라며, “해당 건으로 불편을 겪은 소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리며, 본사 역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사건은 프랜차이즈 브랜드에서 발생한 위생 문제라는 점에서 단순한 일회성 사고를 넘어 브랜드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 번질 수 있는 사안이다.
특히 외부 제조사를 통한 제품 납품 시스템에서 발생한 문제로 인해 가맹점, 본사, 제조사 간의 책임 공방이
이어지는 구조가 반복되면서, 소비자들은 누구를 믿고 대처해야 할지 혼란을 겪고 있다.
무엇보다도 식품 안전에 대한 기업의 대응 체계가 얼마나 투명하고 신속한가에 따라 브랜드 이미지가 좌우되는 시대인 만큼, 향후 대응 수위와 재발 방지 대책이 중요해질 전망이다.
이전에도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는 유사한 식품 이물질 논란이 발생할 때마다 본사와 가맹점, 제조사 간 책임소재가 모호하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이번 빽다방 사례 또한 유통 구조상 본사가 모든 과정을 직접 관리하지 않더라도, 최종 제품의 품질에 대한
책임은 브랜드 이미지에 직결되므로 관리 시스템 전반에 대한 재점검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더본코리아는 백종원 대표가 설립한 외식기업으로, 빽다방 외에도 한신포차, 새마을식당, 백’s비어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사안은 단순히 빽다방 하나의 문제를 넘어서 더본코리아 전체 브랜드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철저한 품질 관리와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한 적극적 조치가 요구된다.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