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치플레이션 확산에 단체급식 산업 수혜

런치플레이션 현상이 지속되며 직장인들의 구내식당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점심값 부담을 덜기 위한 움직임이 이어지면서 단체급식과 식자재 유통 산업이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이에 따라 CJ프레시웨이, 현대그린푸드, 신세계푸드 등 관련 대기업들이 나란히 성장을 기록했으며, 사업 다각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프레시웨이의 1분기 매출은 79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0.8%, 21.0% 늘었다.
임성철 CJ프레시웨이 CFO는 “내수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경쟁력 강화를 통해 외식, 급식사업이 성장하는 성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말부터 외식 식자재 및 식품 원료 유통과 급식 식자재 유통·단체급식으로 사업구조를 재편했다.
외식 식자재 및 식품 원료 유통 매출은 3799억원, 급식사업 매출은 4124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온라인 유통 채널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현대그린푸드는 같은 기간 매출 5706억원, 영업이익 322억원, 당기순이익 264억원으로 각각 2%, 3.4%, 8.4% 증가했다.
현대그린푸드 관계자는 “주력 사업인 단체급식 사업의 식수 증가와 외식사업 호조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고 전했다.
신세계푸드도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 매출은 6.1%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69.7% 늘어난 79억원을 기록했다.
신세계푸드는 “올해 1분기에 원가 절감과 비용 효율화를 통해 영업이익이 약 70% 증가했다”며 “올해 본업 경쟁력을 강화해 성장세를 이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삼성웰스토리는 매출이 7710억원으로 7.7% 증가했음에도 영업이익이 190억원으로 40% 이상 감소했다.
삼성웰스토리는 “매출은 급식 식수 증가와 식자재 고객사 신규 수주 확대로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통상임금, 식자재 가격 상승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직장인들의 점심값 절약 심리가 강해지면서 단체급식 산업의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기업들은 식자재 유통 강화, 이동식 급식, 시니어·케어푸드 확대 등의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외형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꾀하고 있다.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