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 먹는 참새·까치 등장…도심 생태계 자정작용 기대

여름철 불청객으로 떠오른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도심에 대량 출몰한 가운데, 참새와 까치 등 조류가 이들을 잡아먹는 모습이 포착되며 자연 생태계의 자정작용 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러브버그는 산성 체액을 가진 탓에 일반적으로 새나 개구리 같은 포식자들이 기피하는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참새, 까치, 비둘기 등이 러브버그 를 먹는 모습이 곳곳에서 관찰되고 있다.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참새들이 상가 유리창에 붙은 러브버그를 잡아먹고 있다”, “까치 몇 마리가 러브버그를 무료급식소처럼 이용하고 있더라”, “비둘기도 먹기 시작했다”는 등의 목격담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박선재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원은 지난 1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새로운 외래 생물이 유입되면 기존 생물들이 이를 먹이로 인식하고 포식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처음엔 천적이 없어 개체 수가 급격히 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조절되는 경우가 많다”고 생태계의 자정작용 에 대해 설명했다.
정부도 최근 조류와 곤충 등이 러브버그를 포식하는 사실을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성충 단계에서는 참새와 까치 등 천적을 활용하고, 유충 단계에서는 곤충병원성 곰팡이를 이용한 입체적 방제 방안을 추진 중이다.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