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일본 오사카 엑스포서 디지털 복지 모델 선보여

0
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가 일본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서 초고령 사회 대응을 위한 AI 및 디지털 복지 기술을 공개했다. (사진 출처-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가 일본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서 초고령 사회 대응을 위한 AI 및 디지털 복지 기술을 공개했다. (사진 출처-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는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일본 오사카에서 개최된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 참가해 초고령 사회를 위한 인공지능(AI)과 디지털트윈 기술 기반 복지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네이버클라우드는 독거 고령자 돌봄과 도시 복지 관리에 특화된 차세대 AI 모델을 소개하며 일본 현지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전시의 중심에는 ‘클로바 케어콜’과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 있다.

클로바 케어콜은 AI 음성 기술을 기반으로 독거 노인의 일상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대화 중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의료기관이나 지자체 복지센터에 자동 연계하는 시스템이다.

해당 서비스는 일본 이즈모시에 실제 도입돼 고령자 돌봄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정서적 교감까지 가능해 단순 모니터링을 넘어선 ‘AI 정서 케어’로 주목받고 있다.

클로바 케어콜은 지난 3월, 일본 내각관방이 주최한 ‘디지덴코시엔’ 공모전에서 해외 기업 최초로 본선에 진출해 최종 5위를 기록하며, 일본 내에서도 기술력과 실효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번 엑스포를 통해 이 서비스를 더 많은 일본 도시로 확대할 계획이다.

함께 선보인 디지털 트윈 기술은 도시 전체를 3D 공간으로 재현해 고령자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실시간 추적하고, 이상 행동 감지 시 관제센터와 연동해 신속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이는 고령자 안전사고 예방과 도시 복지 관리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어, 일본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기술은 AI와 디지털트윈을 융합한 네이버클라우드의 대표 복지 기술로, 일본 내 복지 수요 증가에 따라 현지 맞춤형 서비스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도시 인프라와 연동 가능한 확장성과 실시간 대응 능력은 초고령 사회 대응 솔루션으로서의 차별화된 강점을 보여준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AI와 디지털 트윈 같은 첨단 기술은 이제 단순한 혁신을 넘어 초고령 사회에서 일상적인 안전망이자 필수적인 복지 인프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즈모를 시작으로 기술이 지역 사회에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을 적극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