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양자전략위원회 출범…1000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 추진

0
국가 양자전략위원회 출범, 양자기술 육성, 1000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 양자산업 생태계 구축, 퀀텀 이니셔티브
(사진 출처-기획재정부 제공)
국가 양자전략위원회 출범, 양자기술 육성, 1000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 양자산업 생태계 구축, 퀀텀 이니셔티브
(사진 출처-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양자 과학기술 육성을 위한 국가 컨트롤타워를 본격 가동하며, 1000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과 양자산업 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12일 정부는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국가 양자전략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퀀텀 이니셔티브’가 의결되며 양자 기술 연구개발(R&D)과 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 전략이 수립됐다.

최 대행은 “양자 분야 핵심 역량을 신속히 확보하고 산업화 기반을 확장해 대한민국이 퀀텀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신규 핵심 연구 인력 2500명을 양성하고 다양한 분야와 협업을 통해 양자 전환 인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양자전략위원회는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최고 의결기구다.

이번에 의결된 퀀텀 이니셔티브에는 1000큐비트 양자컴퓨터, 양자인터넷, 무(GPS) 양자항법센서 개발 등 10대 핵심 과제를 포함해 연구개발(R&D) 투자, 인재 양성, 글로벌 협력 등의 지원책이 담겼다.

정부는 올해부터 8년간 총 7292억 원을 투입하는 ‘양자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이를 통해 10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 양자중계기, 무(GPS) 양자항법센서를 개발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날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20큐비트 양자컴퓨터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연했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00㎞ 양자통신 기술을 선보였다.

이는 한국이 선진국 수준의 양자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미국 아이온큐(IonQ)나 중국 오리진퀀텀(Origin Quantum)과 같은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 원 이상 스타트업)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양자산업을 육성한다.

이를 위해 양자 반도체(퀀텀파운드리) 구축, 양자대학원 확대, 양자 소재·부품·장비(소부장) R&D 지원을 추진한다.

또한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이 주도하는 ‘퀀텀개발그룹(QDG)’ 회의 국내 유치를 추진하며, 시카고대·듀크대 등에 해외 연구 거점인 ‘퀀텀 프론티어랩’을 설립할 예정이다.

현재 한국의 양자기술은 주요 12개국 중 최하위 수준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과기정통부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양자기술이 100점일 때, 한국은 2.3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국가 양자 이니셔티브’를 통해 2019~2023년 39억 달러(약 5조 원)를 투자했으며, 올해부터 2029년까지 추가로 19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다.

중국 역시 조(兆) 단위 투자를 단행하며 양자기술 패권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양자 연구 인력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의 양자 연구 인력은 595명으로, 미국(3122명), 중국(5517명)에 크게 뒤처진다.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32년까지 박사급 인력 540명을 양성하고, 양자 관련 학습을 강화하는 ‘양자 문해력’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2035년까지 ‘양자경제 선도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대규모 R&D 투자, 산업 생태계 조성, 글로벌 협력 강화 등 종합적인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양자기술은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앞서가는 분야지만, 우리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영역은 소재·부품·장비(소부장)”라며

“전체 시스템은 미국이나 중국이 주도하더라도, 한국은 핵심 역량을 확보해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른기사보기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