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양가 논란 뚫고 1순위 마감… ‘힐스테이트메디알레’ 청약 흥행

0
고분양가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아파트가 고분양가 논란 에도 불구하고 청약에서 평균 11.04대 1 기록했다 (사진 출처 - 청약홈)
고분양가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아파트가 고분양가 논란 에도 불구하고 청약에서 평균 11.04대 1 기록했다 (사진 출처 – 청약홈)

서울 은평구 대조동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아파트가 3.3㎡당 4500만 원을 웃도는 고분양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1순위 청약에서 평균 경쟁률 11.04대 1을 기록하며 전 타입이 완판됐다.

최근 한 달 은평구 평균 매매가가 3.3㎡당 2557만 원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거의 두 배에 달하는 가격이다.

하지만 서울 신축 아파트 공급 희소성과 가격 상승 기대감이 맞물리며 고분양가도 시장에서 수용되는 분위기다.

21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1순위 청약을 진행한 힐스테이트메디알레는 총 218가구 모집에 2408명이 몰렸다.

전용 74㎡D는 2가구 모집에 50명이 접수해 25대 1, 전용 59㎡C는 33가구 모집에 474명이 몰리며 14.36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일부 주택형은 예비당첨자 비율 미달에도 불구하고 1순위 청약에서 평균 4.73대 1을 기록했다.

힐스테이트메디알레는 대조1구역 재개발 사업으로 조성되며, 전용 59㎡C의 평균 분양가는 약 11억 5060만 원, 3.3㎡당 4750만 원에 달했다.

전용 74㎡의 최고가는 13억 7820만 원까지 치솟으며, 옵션 포함 시 14억 원을 넘겨 고분양가 논란이 불거졌다.

그러나 실수요자와 투자 수요 모두 청약에 적극 참여하며 ‘고분양=미분양’이라는 공식이 깨지는 모습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고분양가에도 불구하고 청약 흥행이 이어지는 이유로 신축 아파트 공급 감소와 공사비·인건비 인상에 따른 ‘지금이 가장 저렴한 시점’이라는 심리를 꼽는다.

장소희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착공 물량이 줄면서 서울 내 신축 대단지는 희소성이 높아졌다”며 “신축 프리미엄은 향후 공급이 늘어나기 전까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강북 지역에서 분양 초기 미분양이 발생했던 단지들도 최근 100% 계약을 마쳤다.

중랑구 상봉동 ‘더샵퍼스트월드’는 평균 13억 5000만 원(전용 84㎡)의 고분양가 논란에도 이달 초 전 세대 계약을 완료했다.

성북구 삼선동 ‘창경궁롯데캐슬시그니처’ 역시 전용 84㎡ 13억 9000만 원에도 불구하고 1순위 마감 이후 두 달 만에 전 가구 계약이 마무리됐다.

노원구 월계동 ‘서울원아이파크’는 최고 분양가가 14억 1400만 원에 달했으나, 전용 84㎡B타입은 36.7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현재 펜트하우스를 제외한 분양률은 98.71%에 달한다.

한편, 분양가는 앞으로도 오를 가능성이 높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4월 기준 서울 민간 아파트의 공급면적당 평균 분양가는 ㎡당 1376만 3000원으로 전월 대비 2.75% 상승했다. 수도권 전체 상승률(1.97%)보다 높은 수치다.

여기에 오는 6월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는 제로에너지 건축물(ZEB) 설계 기준은 분양가 상승에 더욱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고성능 단열재, 고효율 창호, 신재생에너지 설비 등의 의무 적용으로 인해 공사비가 기존보다 26~3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는 이에 따라 분양가 현실화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다른기사보기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