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곡중앙시장 일대 도시재생 본격화… 공공편의시설 확충 추진

0
화곡중앙시장
화곡중앙시장 일대 도시재생 본격화한다 (사진 출처 - 서울시)
화곡중앙시장
화곡중앙시장 일대 도시재생 본격화한다 (사진 출처 – 서울시)

서울 강서구 화곡중앙시장 인근 저층 주거지에 마을관리사무소와 돌봄시설 등 생활밀착형 공공 편의시설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지난 22일 열린 제4차 도시재생위원회에서 ‘화곡중앙시장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안’을 최종 가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도시재생 대상지는 서울 강서구 화곡동 370-37 일대 15만6989㎡ 규모로, 지하철 5호선 까치산역에서 약 700m 거리에 위치해 있다.

해당 지역은 197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형성된 저층 다가구·다세대 주택 밀집 지역과 화곡중앙시장 등 전통시장이 공존하는 생활권이다.

그러나 김포공항 인근 고도제한 등으로 대규모 개발이 어려운 상황에서 주거 환경 노후화, 보행 불편, 생활 인프라 부족 등 다양한 도시문제를 안고 있어 재생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서울시는 2020년 2월, 해당 지역을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지로 지정하고 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은 ‘전통시장 중심의 활력 창출’과 ‘저층 주거지 개선’을 주요 목표로 설정, 총 8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됐다.

이 중 보행환경 정비, 상점 간판 개선, 노후 기반시설 정비 등 5개 사업은 이미 완료된 상태다.

이번 활성화 계획안 가결로 향후에는 마을관리사무소와 방과후 돌봄 기능을 담당할 ‘우리동네키움센터’가 새롭게 조성될 예정이다.

해당 시설은 지역 주민들의 일상 편의와 복지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한 대상지 일부는 ‘모아타운’(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이번 도시재생계획과 연계된 정비사업이 병행 추진될 수 있는 구조다.

서울시는 도시재생과 주거 정비 간 시너지 효과를 통해 도심 저층 주거지의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김창규 균형발전본부장은 “화곡중앙시장과 연계한 도시재생 계획은 지역 상권과 주거지를 통합해 생활권 중심의 재생 기반을 마련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향후 생활SOC 조성을 마무리하고 모아타운 연계를 통해 도시재생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단순한 정비를 넘어, 지역 상권과 생활 인프라를 통합 재편함으로써 주거환경 개선과 지역 활력 회복을 동시에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른기사보기

김용현 (kor3100@sabanamedia.com)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