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장관감염증 환자 급증…덜 익힌 달걀·육류 섭취 주의보

118년 만의 기록적인 7월 폭염 속에서 세균성 장관감염증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살모넬라균과 캄필로박터균에 의한 감염이 급증하면서 위생 관리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질병관리청이 9일 발표한 전국 200병상 이상 의료기관 210곳의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최근 4주간
살모넬라균 환자는 66명에서 127명으로, 캄필로박터균 환자는 58명에서 128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증가는 최근 극심한 더위로 인해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 조건이 활발해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장관감염증은 병원성 세균, 바이러스, 원충 등이 오염된 식품이나 물을 섭취했을 때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주요 증상은 설사, 구토, 복통이다.
특히 계란, 닭고기, 어패류 등 여름철 쉽게 상할 수 있는 식재료를 날것 또는 덜 익혀 먹을 경우 감염 위험이
크다.
질병관리청은 살모넬라균 예방을 위해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해 냉장보관하고, 껍질 제거 후에는
바로 조리할 것을 권장했다.
계란을 만진 후에는 손을 철저히 씻고, 조리도구는 다른 식재료와 구분해 사용할 필요가 있다.
캄필로박터균은 주로 덜 익힌 가금류, 비살균 유제품, 오염된 물을 통해 감염되므로, 생닭 조리 시
세척은 마지막에 하고, 물이 다른 식재료에 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냉장보관 시에는 가금류를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고 하단에 보관해야 한다.
이 외에도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0.4% 증가해 우려를 낳고 있다.
해당 질환은 경련성 복통과 함께 출혈성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에게
위험할 수 있다.
비브리오패혈증도 본격적인 해수욕 시즌을 앞두고 주의가 요구된다.
현재까지 3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모두 해산물이나 바닷물 접촉 후 발병한 것으로 보고됐다.
만성 간질환자, 당뇨 환자, 알코올성 간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비브리오균 감염에 각별히 유의해야 하며,
어패류는 5도 이하에서 냉장 보관하고, 반드시 85도 이상에서 완전히 익힌 후 섭취해야 한다.
조개류는 껍질이 열린 후에도 5분 이상 끓이는 것이 안전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돼 장관감염증 예방을 위해 보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안전한 음식물 섭취와 올바른 손씻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동일한 음식을 먹고 2인 이상에서 설사나 구토 등의 의심 증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