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후 급증한 ‘사포바이러스’ 감염…2~5세 아동 감염률 가장 높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에서 사포바이러스 감염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과 가을철 기온 상승과
함께 감염률이 정점에 달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사포바이러스는 주로 2세에서 5세 사이의 어린이에게 위장관염을 유발하며,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탈수와
합병증의 위험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김현수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팀은 7일 ‘코로나19 팬데믹 후 국내 사포바이러스 감염 증가’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개하며, 사포바이러스가 기존 예상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국내에서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는 2017년 8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전국 병원과 GC녹십자 연구소에서 수집된 약 20만 4563건의
검체 분석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사포바이러스는 칼리시바이러스 계열의 바이러스로, 노로바이러스와 유사한 경로로 전염된다.
감염 시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이 나타나며 특히 어린아이와 면역력이 약한 고령층에서 위험성이 크다.
팬데믹 이전인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월간 감염률은 4.7%에 불과했으나,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가 본격화된 2022년 여름 이후 급격히 증가해 2022년 8월에는 9.9%, 2023년 9월에는 8.1%에 달했다.
연령별 분석에 따르면 2~5세 아동의 감염률이 6.5%로 가장 높았으며, 6~10세는 3.2%, 1세 이하는 3%를 기록했다.
반면, 11세 이상에서는 감염률이 1% 이하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감염 가능성을 보였다.
유전자형 분석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흔한 GI.1과 GII.3 형이 국내에서도 각각 42.5%, 40%로 지배적이었다.
나머지 유전자형(GII.2, GII.5 등)은 비교적 드물었다. 연구팀은 유전자 간의 명확한 구분이 존재했고,
재조합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혀 향후 진단법 및 백신 개발 시 유의미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여름을 중심으로 감염률이 증가하고 있어 사포바이러스에 대해서도 경각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사포바이러스는 주로 오염된 물과 음식을 통해 전염되므로 손 씻기, 음식물 충분히 익혀먹기,
식재료 위생 관리 등 기본적인 생활 위생 수칙이 감염 예방의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진단검사의학 분야 SCI급 국제 학술지인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7월호에
정식 게재될 예정이며, 현재는 온라인판을 통해 공개됐다.
사포바이러스가 여름철 장염 바이러스로 새롭게 주목받는 만큼, 전문가들은 노로바이러스처럼 정기적인
감시체계를 갖추고 공중보건 차원에서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전수인(su2nee@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