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적 생긴 러브버그…“7월 중순이면 러브버그 대부분 사라진다”

0
러브버그는 장마철과 겹쳐 7월 중순을 전후로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전문가들이 분석하고 있다.
러브버그는 장마철과 겹쳐 7월 중순을 전후로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전문가들이 분석하고 있다. (사진 출처-나무위키 제공)
러브버그는 장마철과 겹쳐 7월 중순을 전후로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전문가들이 분석하고 있다.
러브버그는 장마철과 겹쳐 7월 중순을 전후로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전문가들이 분석하고 있다. (사진 출처-나무위키 제공)

도심 곳곳에서 대량으로 출현하며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러브버그’ (붉은등우단털파리)가 이르면 7월 중순께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으로 전망됐다.

1일 국립생물자연관 박선재 연구원은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러브버그의 활동 시기에 대해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6월 중순부터 발생이 시작돼 성충의 수명이 약 일주일 정도인 점을 고려하면, 7월 중순에는 대부분의 개체가 사라지는 양상을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장마가 끝날 무렵이 되면 개체 수도 자연스럽게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러브버그는 비행 능력이 매우 낮아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는 사람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실제로는 주변 풀숲 등에 잠복해 있다가 비가 그치면 대거 출현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장마 이후 시기에 집중적으로 눈에 띄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러브버그는 2015년 인천에서 국내 최초로 관찰됐으며,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산돼 현재는 서울 전 자치구를 포함해 경기지역까지 보고되고 있다.

국립생물자연관이 중국, 일본, 대만 등 인접 국가의 표본을 유전자 분석한 결과, 러브버그는 중국 산둥성 칭다오 지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입 경로로는 물류 교역 과정에서의 우연한 유입 가능성이 유력하게 지목되고 있다.

박 연구원은 러브버그라는 이름에 대해 “암수 한 쌍이 신혼비행 이후 붙어 다니는 습성에서 유래한 별칭”이라 설명했다.

그는 “애벌레는 낙엽층 토양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고, 성충은 꽃가루를 옮기는 익충으로서 생태계에 기여하는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떼로 몰려다니며 사람의 활동 공간에 불쾌감을 유발하기 때문에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산지에서 대거 관찰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계양산, 북한산처럼 낙엽이 잘 쌓인 환경은 유충에게 적합한 서식지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성충이 되면 일제히 신혼비행을 시작하면서 등산로 주변 등에서 발견되기 쉬운 상황이 되는 것이다.

러브버그의 천적도 서서히 자리를 잡고 있다.

박 연구원은 “최근 야외 조사에서 까치, 참새, 사마귀, 거미 등이 러브버그를 포식하는 장면이 관찰되고 있다”며, “시간이 지나면 생태계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개체 수가 조절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시민 행동 수칙으로는 빛에 대한 강한 선호를 지적하며 “생활 조명을 최소화하고 외출 시 어두운 색의 옷을 입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실내 유입 시에는 분무기로 물을 뿌린 뒤 휴지 등으로 제거하면 된다.

국립생물자연관은 러브버그 대책의 일환으로 조명 유인을 활용한 포집장치를 개발하고 있으며, 서울시와 협업해 올해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향후 성과가 확인되면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될 전망이다.

다른기사보기

박세준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