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24, ‘정부24+’로 진화…공공 서비스 원스톱 이용 가능해진다

0
정부24
행정안전부 청사 전경. 정부24+는 이곳에서 추진 중인 디지털 행정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개편됐다. (사진 출처-행정안전부 제공)
정부24
행정안전부 청사 전경. 정부24+는 이곳에서 추진 중인 디지털 행정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개편됐다. (사진 출처-행정안전부 제공)

행정안전부는 기존의 정부 대표 포털인 ‘정부24’ 를 오는 10일부터 ‘정부24+’로 전면 개편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국민이 다양한 정부 서비스를 한 번의 로그인만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그동안 정부24에서는 관련 부처의 개별 사이트로 연결되는 방식이었으며, 각 사이트마다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부24+에서는 ‘복지로’, ‘고용24’ 등 주요 공공 플랫폼과 연동돼 별도 로그인 없이 통합적으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를 신청할 때 기존 6단계에 이르던 절차가 정부24+에서는 3단계로 줄어들고, 국세청의 국세 납부내역 조회, 보건복지부의 건강검진 결과 조회도 별도 사이트 이동 없이 직접 처리할 수 있다.

모바일 환경 개선도 이번 개편의 핵심이다.

오는 14일부터 모바일 앱에서도 비밀번호 설정이 적용된 민원서류 파일을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되며, 기존에 공동인증서만 가능했던 생체인증 등록도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된다.

이는 국민들의 모바일 행정 이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가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혜택을 미리 알려주는 ‘혜택알리미’ 서비스도 새롭게 도입된다.

사용자는 국민비서를 통해 자신에게 적용 가능한 정책 혜택을 선제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이는 정보 접근성과 수혜 기회를 확대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24+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시스템을 도입해 트래픽 폭주 시에도 접속 지연이나 서비스 중단 없이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기존 시스템보다 확장성과 보안성을 강화하면서도 서비스 속도와 사용 편의성을 높인 구조로 평가받는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AI 기반 지능형 검색을 도입하는 등 국민의 눈높이에 맞도록 디지털 정부 서비스를 지속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다른기사보기

배동현 (grace8366@sabanamedia.com) 기사제보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