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애니메이션 산업에 1500억 펀드 조성…청장년층·숏폼 제작 확대

정부가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 활성화를 위해 1500억원 규모의 특화 펀드 조성과 함께 숏폼 콘텐츠, 청장년층 타깃 애니메이션 제작 지원을 확대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4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애니메이션 산업 진흥 기본계획(2025~2030)’을 발표하며, 산업 매출을 현재 1조1000억원에서 2030년까지 1조9000억원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핵심 추진 과제로는 애니메이션 특화 펀드 조성이 포함됐다.
2030년까지 1500억원 규모로 조성될 이 펀드는 프로젝트와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집중 투자돼 애니메이션 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한다.
특히 콘텐츠 지식재산(IP)을 활용한 제작에 우대를 적용해 다양한 투자 유치를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기술 융합도 주요 지원 분야로 꼽힌다. 올해 문체부는 450억원을 출자해 총 75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 신기술 기반 콘텐츠와 관련 기업에 결성 금액의 60% 이상을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국제 공동제작에 있어서는 일정 조건 충족 시 제작비의 약 25%를 환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해당 조건에는 국내 주요 제작 비중, 인건비 지출, IP 보유 등이 포함되며, 현재 주요 국가의 지원정책 분석을 통해 세부안을 설계하고 있다.
시장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청장년층용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힘을 싣는다.
OTT와의 협약으로 방영 기회를 제공하고 고전 IP 재해석을 지원한다. 올해는 이를 위해 30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2025년부터는 숏폼 애니메이션도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신규 콘텐츠 창작뿐 아니라 기존 롱폼 콘텐츠를 숏폼으로 전환하는 시도를 유도해 수요층을 넓히고 콘텐츠 선순환 체계를 구축한다.
기존 웹툰과 웹소설 IP를 애니메이션으로 전환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스핀오프 제작도 지원 대상에 포함된다.
이와 함께 의류, 완구 등 애니메이션 파생상품 사업화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개발, 유통, 홍보는 물론 대기업 및 중견기업과의 협업도 강화할 계획이다.
해외 진출 기반도 마련된다. 문체부는 국제 애니메이션 마켓에 한국 공동관을 설치해 수출 지원을 강화하고, 더빙과 자막 등 현지화 작업도 체계적으로 뒷받침한다.
아울러 AI 기반 콘텐츠 산업 생태계 조성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 및 기관 연계 방안도 포함됐다.
신혜연 (karung2@sabanamedia.com)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