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소비자물가 7개월 연속 2%대 상승… 생활물가 체감 상승폭 더 커

0
경기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경기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2% 유지한 가운데 빵 커피 달걀등 생필품 가격 인상했다 (사진 출처 - 경인지방통계청)
경기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경기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2% 유지한 가운데 빵 커피 달걀등 생필품 가격 인상했다 (사진 출처 – 경인지방통계청)

경기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개월 연속 2%대를 유지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구입 빈도가 높은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 체감 물가 상승폭이 더욱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인지방통계청이 2일 발표한 ‘6월 경기도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5(2020년=100 기준)로 집계돼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이후 7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는 수치로, 경기도 지역의 물가 압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소비자 체감 물가를 보다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가계의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출되며, 이번 상승은 실질적인 소비자 부담이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식품과 비식품을 포함한 지수에서도 상승세가 뚜렷했다.

식료품, 비주류음료, 주류, 음식서비스 등으로 구성된 식품 부문은 3% 상승했고, 식품 이외 항목도 2.4% 오르며 전반적인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다만,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 하락했다.

이 지수는 계절적 요인에 따른 가격 변동성이 큰 55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출되며, 일부 과일과 채소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다소 상쇄한 것으로 보인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상품 부문은 1.9% 상승했다. 이 중 농·축·수산물은 1.6% 올라 농산물(-1.2%)은 하락한 반면 축산물(4.4%)과 수산물(5.9%)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돼지고기(4.4%), 달걀(8.6%), 마늘(21.5%), 고등어(12.3%) 등이 큰 폭으로 오르며 식탁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반면, 사과(-15.0%), 배(-30.4%), 파(-18.8%) 등은 가격이 하락하며 일부 부담을 덜었다.

공업제품 가운데 가공식품은 전년 동월 대비 4.8% 올랐다. 빵(6.5%), 커피(10.7%), 소시지(12.8%) 등 주요 소비 품목의 가격 상승이 이를 견인했다.

전기·가스·수도요금도 3.5% 상승해 공공요금 부담 역시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서비스 부문은 전반적으로 2.5% 상승했다. 이 가운데 개인 서비스는 보험서비스료(16.3%)와 공동주택관리비(5.7%) 상승의 영향으로 3.4% 상승했다.

공공서비스도 사립대학교 납입금(5.5%)과 하수도료(8.6%)의 상승으로 1.5% 올랐다.

한편, 통계청은 물가 상승이 다소 둔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생활 물가에 민감한 품목을 중심으로 높은 체감 상승률이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기지역 가계의 실질 구매력 회복은 당분간 제약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른기사보기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